소셜 미디어의 시대에는 기존의 홈페이지, 블로그를 이용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물론, 블로그 시대에도 홈페이지 시대와는 다른 전략이 필요했지요.
@hblodget
Henry Blodget
@alexia
Alexia Tsotsis
@NathanWurtzel
Nathan Wurtzel
@gaberivera
Gabe Rivera
@thatdrew
drew olanoff
@christinelu
Christine Lu
@jspepper
Jeremy Pepper
어떻습니까? 케네스콜이 이런 반응을 기대한건 아닐텐데 말이죠.
@KennethColePR
게슈타포라... 참 그립고도 아름다운 이름이네요.
@KennethColePR
@KennethCole
Kenneth Cole
소셜 미디어 시대가 기존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다른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는 "긍정의 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달리 말하면, 소셜 미디어 내에서는 기존에 많이 사용하던, 네거티브 메시지(노이즈 마케팅 등)류가 절대 먹히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사람들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오고, 브랜드의 원래 의도와 달리 그 "반발"들이 퍼져나가면서 부정적 유명세만 떨치게 되지요.
케네스콜은 알만한 사람은 아는 브랜드죠. 뉴욕에서 온 아주 유명한 패션 브랜드입니다. 최근 케네스콜은 도대체 무슨 정신인지 알 수 없을 정도의 멍청한 짓을 했습니다. 케네스콜이 트위터에 올린 글을 보시죠.
연일 뉴스를 달구고 있는 이집트 이슈를 가져와 "케네스콜의 스프링 컬렉션을 살 수 없어 수백만의 군중이 화가 난 건"이라고 한 것이죠. 카이로 해쉬태그까지 붙여서 말이죠. 사실 이러한 트위터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케네스콜의 스타일입니다.
- George Bush doesn't care about black people, but we care about people wearing black! #KennethColeTweets
- Did a Jihadist blow up ur luggage while u were traveling in India? Head over to my store and Mumbai a whole new wardrobe! #KennethColeTweets
블랙 유머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카이로 사람들이 유머의 대상이 되어도 된다고는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는 모양입니다.
이 글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볼까요?
@arrington
Michael Arrington
Michael Arrington
about 7 hours ago via webRetweetReply
![Henry Blodget](http://a1.twimg.com/profile_images/61099355/blodgethead_normal.jpg)
Henry Blodget
Hey, @kennethcole, who's the idiot who sent this tweet? Has he/she been fired yet? http://read.bi/hdMVmj
![Alexia Tsotsis](http://a1.twimg.com/profile_images/1214394990/alexia100x100_normal.png)
Alexia Tsotsis
Okay Internet, who do we hate more, Kenneth Cole or Mubarak?
![Nathan Wurtzel](http://a1.twimg.com/profile_images/1225933012/2dicks_normal.jpg)
Nathan Wurtzel
![Gabe Rivera](http://a2.twimg.com/profile_images/782943115/gabe_enron_normal.png)
Gabe Rivera
Sadly, outrage over @KennethCole is mostly played out. Any other angles to take? E.g. http://read.bi/fwuxAI Or maybe: Anti-outrage backlash?
about 6 hours ago via webRetweetReply
![drew olanoff](http://a2.twimg.com/profile_images/1216881196/eightbit-90595776-4875-4ff8-8fda-36555c55b98e_normal.png)
drew olanoff
how to damage a brand:http://twitter.com/#!/KennethCole/status/33177584262971393
about 7 hours ago via webRetweetReply
![Christine Lu](http://a3.twimg.com/profile_images/1216138722/PicByScoble2_normal.jpg)
Christine Lu
…looks like sh*t just hit the social media fan for Kenneth Cole today.
![Jeremy Pepper](http://a0.twimg.com/profile_images/1193265530/FB_to_Twitter_Pic_normal.jpg)
Jeremy Pepper
@gaberivera Can my outrage be that KC has a history of such stunts and it's their strategy for press. Must be the clothes/shoes suck.
about 6 hours ago via webRetweetReply
어떻습니까? 케네스콜이 이런 반응을 기대한건 아닐텐데 말이죠.
케네스콜이 "도를 넘어선" 이슈를 트위터 커뮤니케이션에 활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 "생각없음"에 더욱 분노하고 있고요.
![KennethColePR](http://a1.twimg.com/profile_images/1233870306/KennethColeRev_normal.jpg)
Rolling through Germany? Gestapo by our new Berlin store!#KennethColeTweets
about 6 hours ago via webRetweetReply
이런 일도 있엇습니다.
![KennethColePR](http://a1.twimg.com/profile_images/1233870306/KennethColeRev_normal.jpg)
Our Tucson store is locked and loaded with Spring looks!#KennethColeTweets
about 7 hours ago via webRetweetReply
투싼에서 있었던 비극적인 총기 난사 사고로 인해 모든 국민이 애도하고 있을때, 케네스콜은 발빠르게 신제폼 홍보에 투싼을 이용했지요.
이집트 관련 트윗이 올라가고 나서 불과 몇시간만에 1500여개의 부정적인 글들이 케네스콜의 타임라인을 덮기 시작했습니다.
네티즌들의 분노에 케네스콜은 서둘러 글을 삭제하고 아래와 같은 사과 메시지를 올렸지만...
버스는 떠났고 신작로에는 먼지만 남았지요.
![Kenneth Cole](http://a0.twimg.com/profile_images/454045776/twitter_icon_normal.jpg)
Kenneth Cole
Re Egypt tweet: we weren't intending to make light of a serious situation. We understand the sensitivity of this historic moment -KC
아무래도 케네스콜은 자신들만의 홍보용 컨셉을 바꾸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저 역겨운 배경 이미지와 함께.
어느 누구도 윤리적 비난을 받는 브랜드의 옷을 몸에 걸치고 싶어하지는 않을테니까요.
http://twitter.com/KennethColePR
'Social Med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볼 특집 1 - 지난 10년간 최고의 슈퍼볼 광고들 (0) | 2011.02.06 |
---|---|
아시아 페이스북 이용자수는 1억 4천 3백만명 (0) | 2011.02.05 |
2010년 소셜 커머스 타임라인 (0) | 2011.01.05 |
최대 세일 시즌에 소셜 미디어의 활약은 미미했다 (0) | 2010.12.31 |
짝퉁 소셜 미디어 전문가를 걸러내는 법 (0) | 201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