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검색엔진최적화)에서 말하는 좋은 컨텐츠란 무엇일까요?
SEO와 관련되어 가장 흔하게 인용되는 말 중 하나는 "컨텐츠가 왕이다"입니다.
그만큼 컨텐츠의 중요성이 높다는 것이죠.
웹사이트 환경이 극악인 우리 나라에서는 플랫폼 최적화가 더 시급하기도 하지만, 어쨋든 SEO의 본질은 컨텐츠입니다.
검색 이용자들은 "사이트"가 아닌 "컨텐츠"를 찾기 때문입니다.
먼저, 이 글은 미스터 SEO 사이트에 올려진 "고품질 컨텐츠란 어떤 것인가?"라는 글에 대한 부연설명의 성격을 갖습니다.
SEO 관점에서의 컨텐츠에 대해 아주 잘 정리된 글이니, 이 글을 읽기 전에 꼭 먼저 읽고 오세요.
[바로가기]고품질 컨텐츠란 어떤 것인가? - MRSEO.KR
검색엔진은 사람과는 다른 방식으로 컨텐츠를 읽습니다. 어쨋거나 프로그램인걸요.
하지만 검색엔진이 단순히 기계의 시각으로만 컨텐츠를 판단한다고 봐서도 안됩니다.
검색엔진이 좋은 컨텐츠라고 보는 것은, 결국 검색 사용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컨텐츠라는 의미입니다. 검색엔진에게 있어 서비스의 핵심은 검색 사용자들의 만족도이기 때문입니다. 특정 단어를 검색한 사람들에게 가장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그것이 검색엔진의 목표입니다.
1. 주제는 명확하게
한 컨텐츠는 여러 내용을 두루뭉실하게 다루는 것 보다는 명확한 한 주제를 다루는 것이 좋습니다.
검색엔진에게 컨텐츠의 주제를 전달하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모두 "키워드"라는 공통 분모를 갖고 있습니다. 검색 사용자들이 우리 컨텐츠를 방문할 때 사용되어지기를 원하는 타겟 키워드를 정확히, 잘 활용해야 합니다.
본문 내에서 키워드를 활용할 때에는 일반적인 글 작성법과는 다르게 접근하셔야 합니다. 검색엔진은 대명사가 가리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순신 장군은"과 "이장군은"과 "그는"은, 우리에게는 같은 의미이지만 검색엔진에게는 다르게 받아들여집니다. 보다 명확한 주제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읽는 이에게 크게 어색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이순신 장군"이라는 정확한 키워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본문 외에도 제목, 이미지 파일명 등 컨텐츠 내의 여러 소스에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엔진에게 해당 컨텐츠가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전달할 수 있습니다.
단, 키워드를 너무 많이 반복할 경우에는 오히려 스팸성 글로 인식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2. 중요한 것은 앞에
News Writing 수업을 들어본 분들은 Inverted Pyramid라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중요한 정보는 앞에 위치한다는 것입니다.
배경으로부터 결론을 도출하는 연역법에 더 익숙한 우리와 달리, 서양에서는 결론을 먼저 꺼내고 배경을 설명하는 귀납법이 더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검색엔진은 "더 중요한 정보는 더 앞에 나온다"고 가정합니다.
이 말인즉슨, 타겟 키워드가 포함된 글이 상단에 나올수록 그 글의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검색엔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3. 컨텐츠는 Rich하게
벌써 10여년 전이지만, 플래시 배너가 유행하던 시기에 Rich Banner라는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Rich라는 말은 단순히 돈이 많다는 뜻 외에 풍부하고 풍요롭다는 의미도 갖고 있는데요, SEO에서 "컨텐츠가 Rich하다"는 말은 텍스트 뿐 아니라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책을 샀는데, 100장에 모두 텍스트만 가득한 것과 사진과 도표와 설명동영상 DVD까지 제공되는 책 중 어떤 것이 독자의 입장에서 정보를 이해하기가 편할까요?
4. 잘 구조화된 글
제가 유학가서 가장 고생한 수업이 PR Writing 관련 수업이었습니다. PR이다보니 정확한 문법과 뉘앙스까지도 평가 대상이었죠. 그런 것들이야 외국인 입장에서 당연히 어려울 수 있다고 해도, 의외로 힘들었던게 글의 구성이었습니다. 문단을 나누고 줄바꾸고 하는 것들까지도 굉장히 엄격하게 보더군요(지금 이 글도 교수님이 보셨다면 빨간줄 쫙쫙입니다).
"구조화"라는 것은 어디에서나 매우 중요합니다. 물류를 정리하고, 전략을 세우고, 글을 쓰는 모든 것들에 있어 구조화되지 않은 것은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습니다.
종종 온라인 카페 등에서 띄어쓰기나 줄바꾸기 등이 거의 안된 글을 보셨나요? 글의 내용이 좋고 나쁘고를 떠나 그 의미의 전달 자체가 어렵게 되죠.
책이나 논문을 생각하시면 구조화의 개념이 더 잘 이해되실 것입니다. 책 전체의 제목이 있고, 챕터 제목이 있고, 챕터 내에서 또 분류가 나눠지고. 이 개념을 하나의 컨텐츠로 불러온다고 생각하세요. 대제목, 중제목, 소제목. 그리고 각각의 분류 단위를 Heading Tag라는 것으로 지정해줍니다. 대제목은 H1, 중제목은 H2, 소제목은 H3
이 글의 경우 글의 제목이 대제목인 H1이 될테고, 1, 2, 3으로 구분되는 것들이 중제목인 H2가 되겠네요. (블로그 스킨에서의 기본 지정 때문에 실제로는 저렇게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개별 컨텐츠에 대한 최적화는 웹사이트 SEO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닙니다.
네이버가 장악한 우리 나라에서 블로그 컨텐츠 SEO는 웹사이트 SEO보다 더 높은 전략적 우선순위를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파워블로거 활용 등 컨텐츠 마케팅을 단순히 바이럴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컨텐츠 SEO의 관점에서 전략 및 성과측정을 고민하셨으면 합니다.
'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 마케팅에서의 데이터 드리븐 마케팅 활용 (0) | 2019.01.06 |
---|---|
네이버 검색어 순위 마케팅은 효과가 있을까? (0) | 2016.07.15 |
네이버 "비공식" 대행사로 살아간다는 것 (3) | 2016.05.30 |
네이버 검색광고 관리 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 영향 (0) | 2016.03.10 |
구글 검색광고 영역의 변화, 그리고 그 영향 (0) | 2016.02.26 |